이코노미스트436 분양도 어렵고, 경매도 어려운데... '보류지'는 무엇일까? 오늘은 재건축, 재개발 사업에서 '보류지'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류지? 도시정비사업을 진행할 때, 만일에 사태에 대비하여 남겨두는 여유분의 주택 왜 이 '여유분'을 남겨두는 게 중요할까요? 보류지는 도시정비사업에서 사업경비 충당, 조합원 수 착오에 대한 지분 누락 등을 대비하여 조합에서 "일반분양하지 않고 남겨두는 주택"을 말합니다. 그 규모를 알아보면, 공동주택 총 건립 세대수의 1% 이내로 확보가 가능합니다. 그 범위를 초과해야 한다면 구청장에게 사유 및 증명서류를 제출해서 인가를 받아야 하고요! 그럼 보류지는 어떻게 처분을 할까요? 보류지는 분양대상의 누락, 착오 및 소송 등에 따른 대상자에게 우선 처분을 합니다. 잔여분은 일반분양(공개입찰)하거나 조합 정관에 따라 처분합니다. *일.. 2024. 9. 7. 물가 잡혀 금리인하 시기 됐는데… 집값·가계부채 눈치보는 한국은행 https://www.mk.co.kr/news/economy/11110915 물가 잡혀 금리인하 시기 됐는데… 집값·가계부채 눈치보는 한국은행 - 매일경제10월 금통위 금리인하 주목"당국 규제로 가계부채 꺾이면기준금리 내릴 여건 마련돼"www.mk.co.krFact 1. 물가 안정세 / 내수 부진 심화 / 가계 부채가 너무 많아 2. 최근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한은의 물가목표치인 2%로 떨어져 3. 2분기 GDP 성장률은 -0.2% 기록 의견 1. "소비자들이 대출이 많아 소비여력이 좋지 않기 때문에 내수가 악화됐다" 2. "고금리 상황에서 금융자산이 많은 사람은 금융소득이 증가 - 대출을 많이 받았던 사람들은 이자 비용이 증가하는 양극화 심해져" 3. 부동산 공급도 적절히 이뤄져야 → 물.. 2024. 9. 6. 주택거래 뚝뚝, 매수심리도 둔화…서울집값 '과열' 잡히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771619 주택거래 뚝뚝, 매수심리도 둔화…서울집값 '과열' 잡히나아파트 거래량이 줄고 매수심리가 둔화하는 등 과열됐던 분위기가 다소 진정되는 양상이다. 특히나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압박에 은행권이 다주택자의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한 데다, 2단계n.news.naver.comFact 1. 아파트 거래량 줄고, 매수심리 둔화 ->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압박에 은행권이 다주택자 주담대 제한 2.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으로 자금줄 막힌 상태 의견 1. "서울 집값 임계점 돌파해 매수에 적극 나서는 이들도 크게 줄어듦" 2. "미국의 경기 지표 둔화가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만 다를 수 없다" → 정.. 2024. 9. 5. 생애최초 주택 구입의 혜택은 무엇일까? 생애최초 주택 취득세, 200만 원까지 감면 받아요 - TOP50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korea.kr) 생애최초 주택 취득세, 200만 원까지 감면 받아요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부 정책뉴스포털.www.korea.kr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 취득세 200만원을 감면받을 수 있다 (소득에 상관 없이 12억원 이하의 주택 구입자 적용 (~2025.12.31)) - 3년 동안 실거주 2024. 9. 4. "재건축, 어느 세월에"…'찬밥'이던 리모델링 '기지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763221 "재건축, 어느 세월에"…'찬밥'이던 리모델링 '기지개'주택 공급 부족 우려가 갈수록 커지면서 재건축·재개발에 밀려 외면받던 리모델링이 재부상하고 있다. 리모델링은 재건축에 비해 사업성이 다소 떨어지지만, 조합원과 갈등 요인이 적고, 상대n.news.naver.comFact 1. 올해 초 공사비 상승과 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침체한 리모델링 시장 분위기 반전 2. 용적률이 높아 재건축 추진이 어렵고, 사업의 진척이 없는 서울 & 수도권 일부 단지들이 리모델링으로 선회 3. 리모델링은 재건축과 달리 *국토계획법에 용적률 상한 제한이 없음 *각 세대의 주거저용면적을 최대 40%까지 .. 2024. 9. 3. 치솟는 집값에 가계빚도 ‘눈덩이’…대출규제도 약발 ‘안 통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864269 치솟는 집값에 가계빚도 ‘눈덩이’…대출규제도 약발 ‘안 통해’불붙은 집값을 잡기 위해 정부가 8·8대책을 통해 대대적인 공급 확대 방안을 마련했지만, 여전히 시장은 과열 분위기다. 그에 따른 가계부채 급등 우려도 커지는 모양새다. 금융당국이 기준금리n.news.naver.comFact 1. 8월 2주 서울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 대비 0.32% 올라 -> 21주 연속 상승세 2. 거래량도 꾸준히 늘어 2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건수 8304건 3. 시중은행 가계대출 급증 : 주택담보대출 견인의견 1. 금융당국이 기준금리 동결기조를 유지할 가능성 커 2. 다음달 2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 본격 시행.. 2024. 8. 22. “서초·강남·용산 이상징후 떴다”…아파트 매매거래 절반이 갭투자 https://www.mk.co.kr/news/economy/11094108 “서초·강남·용산 이상징후 떴다”…아파트 매매거래 절반이 갭투자 - 매일경제서울 갭투자 비율 2021년 50.1%→올해 39.43% 반면 용산구 66.5%·서초구 51.6% 등 고가아파트 밀지지역은 갭투자 비율 늘어 서울시 “용산·강남3구 전체로 허가구역 확대 검토”www.mk.co.krFact 1. 최근 투자 수요가 가장 몰리는 서초, 강남, 용산은 갭투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2. 주택 매수자가 집을 살 때 제출하는 자금조달계획서 중 임대보증금 승계를 보고 대략적인 갭투자 규모 추산 (자금출처가 자기자금 중 '부동산 처분대금'인 경우는 기존 집을 팔고 새집으로 옮기는 '갈아타기' 수요로 간주) 3. 갭투자 비율이 가장.. 2024. 8. 19. 비싼 주택, 사위·며느리한테 증여하는 까닭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877311 [서미숙의 집수다] 비싼 주택, 사위·며느리한테 증여하는 까닭은?집값 올라 상속세 대상 급증…자녀 배우자·손주 등에 분산 증여 확산 증여·상속세 절세 효과 커…'자녀 5억 공제로?' 정부 상속세 개편 촉각 서울에 거주하는 김모(75) 씨는 최근 강남의 4층짜리n.news.naver.comFact 1. 증여세는 증여 받는 사람, 상속세는 고인을 기준으로 과세 2. 대출이나 전세를 낀 '부담부 증여' 부동산을 미리 증여한뒤 일정 기간이 지나면 부모 사망 후 상속재산에 합산X 3. 과거 사전 증여 대상 주로 자녀 한정 : 이혼할 경우를 우려 4. 사위, 며느리, 손주들에게 미리 지분을 분산 증여 : 서울 아.. 2024. 8. 16. “언제까지 신축타령할 거야” 신고가 이끄는 재건축 단지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092930 “언제까지 신축타령할 거야” 신고가 이끄는 재건축 단지 - 매일경제서울 아파트 집값이 뛰는 가운데 거래량마저 늘고 있다. 재건축·재개발 아파트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는 추세다. 14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6월 아파트 거래량은 8845건으로 전년www.mk.co.krFact 1. 6월 아파트 거래량 전년 동월 대비 36% 증가 2. 재건축 단지 거래 - 대치동 은마아파트 18건, 강남 아파트 단지 중 공동 6위, 목동 재개발 단지 양천구 3. 8.8 부동산 공급 대책 발표 : 재건축, 재개발 사업 기간을 단축해 도심 내 아파트 공급을 늘리기 위해 '재개발, 재건축 촉진법' 제정 추진 의견 1. 현재 재건축 수.. 2024. 8. 15. 영구임대 재건축해 이주 단지로…중동 용적률 350%·산본 33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379983 Fact 1. 1기 신도시 등 노후계획도시 재건축을 위한 정부 기본방침 공개 2. 영구임대주택을 재건축 해 1기 신도시 이주민들의 임시 거처로 활용 3. 1기 신도시 중 중동, 산본은 재건축을 할 때 기준 용적률을 각각 350%, 330% 4. 1기 신도시 영구임대는 도심 요지에 자리 잡고 있어 고밀 개발하여 이주주택으로 활용 의견 1. 영구임대주택 거주민이 재건축 공사기간 어디로 이주해 살 것인지 2.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 사업 모델 검토 → 1기 신도시 재건축의 시작? 무엇보다 서울이 재건축/재개발 될 때에는 어디로 이주해갈 것인가? 2024. 8. 14. “공급 늘때까지 집사지 말라고?"…옥죄는 대출에 ‘부글부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726715 “공급 늘때까지 집사지 말라고?"…옥죄는 대출에 ‘부글부글’“정부가 가계 부채 총량을 줄이기 위해 시장에 금리 인상 신호를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 정부 시절 집값을 잡지 못한 책임을 물었던 현 정부 역시 적절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집n.news.naver.comFact 1. 정부가 주택 공급 확대와 정책 대출 옥죄기 카드를 동시에 내놓음 2. 디딤돌 대출 (주택 구입) 금리를 현행 2.15~3.55% -> 2.35%~3.95% 3. 버팀목 대출 (전세 자금) 금리를 현행 1.5~2.9% -> 1.7~3.3% 의견 1. 신한은행 "급격한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안정화 금리가 필요해 금리를 .. 2024. 8. 13. 부동산 공급 대책, 공염불 되지 않으려면 부동산 공급 대책, 공염불 되지 않으려면 [기자수첩] (daum.net) 부동산 공급 대책, 공염불 되지 않으려면 [기자수첩][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서울과 수도권 주택시장에 이상 과열 현상이 발생하면서 정부가 급한불을 끄기 위해 내놓은 ‘8·8 부동산 공급대책’에 대해 시장에서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v.daum.net 1. 정부 대책 : 정비사업을 서두르기 위해서는 공사비 갈등 문제 해결이 시급하고 이를 위해 대규모 사업장 전문가 파견 의무화, 공사비 검증 인력 확대 - 실효성 ? 2. 서울시의 입장 선회가 없다면 아무 소용 없는 허울 뿐인 대책 2024. 8. 12. 이전 1 2 3 4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