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859672?sid=101
은행 주담대 7% 넘어…“영끌족 금융 부담 커질 듯”
영끌족 이자 부담 가중, 가계 부실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뉴시스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7%를 넘어서면서 모든 대출을 끌어모은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족들의 이
n.news.naver.com
Fact
1. 시중은행 주담대 금리 연 7% 넘어서
2. 최근 특례보금자리론 금리까지 올라
3. 주담대 변동금리 연 4.270~7.099% : 하단금리 소폭 하락했지만, 시중은행들은 시중금리 상승 고려해 상단 금리 올려
4. 주담대 고정금리(혼합형) 연 3.9~6.4% : 하단, 상단 모두 상승
5. 가계부채 오히려 증가
의견
1. 하반기 미국 등 각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예상 - 대출금리 상승세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
2. 부동산 시장에선 올해 하반기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이자 부담을 느낀 영끌족 매물 출회가 늘어날 것이란 분석
3. "하반기 미국이 기준금리 더 올릴 것으로 예상 - 이에 따라 한국도 연내 기준금리를 올릴 것"
4. "기준금리가 오르고, 이자 부담이 커진 영끌족들이 가운데 버티기 힘든 일부가 매물을 시장에 내놓을 것"
=> 미국 금리과의 금리 격차가 너무 커지더니, 결국 주담대도 올랐다. 미국 금리는 더 오를 전망이다. 금리 쪽은 작년부터 계속해서 어두운 전망이다. 너무 오르니까 "하반기에는 떨어질거다"라는 시각이 우세했는데, 빗나갔다. 빚내서 집을 산 사람들은 점점 더 힘들어지겠지만, 과연 전문가의 의견처럼 매물을 시장에 내놓을 지는 미지수다. 실거주자라면, 이자 감당이 더 힘들어진다고 해서 집 자체를 내놓을까?
'이코노미스트 > 뉴스 Fact와 의견 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큰손들 몰리던 ‘이것’…거래량 반토막 났다는데 (0) | 2023.10.03 |
---|---|
집값 반등에 분상제 강점…검단·파주운정 등 상승거래 이어져 (2) | 2023.10.02 |
‘최고 부촌’ 족쇄 드디어 풀린다…압구정 재건축 쉬워진다는데 (0) | 2023.09.15 |
상급지 갈아타기 이제 '꿈'…강남북 평균 집값 16억 벌어졌다 (0) | 2023.09.14 |
“전셋값 올라도 집 안 사”... 관망세 짙어지는 서울 아파트 (0) | 2023.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