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 떨어지는데, 대출금리 올리는 은행 왜? (naver.com)
시장금리 떨어지는데, 대출금리 올리는 은행 왜?
은행들의 자금조달 부담이 줄고 있다. 금융채 발행 금리가 떨어지고 은행들의 자금조달비용지수인 코픽스 금리 역시 하락세다. 조달부담이 줄어든 만큼 은행들은 대출금리를 낮출 여력이 생겼
n.news.naver.com
Fact
1. 금융채 5년물 금리는 지난달 3.5% 수준에서 이달 16일 기준 3.31%까지 하락
(금융채 5년물 금리는 은행들이 혼합형 주담대 금리를 산정할 때 벤치마크 금리로 사용)
2. 은행들은 정반대 행보 보이고 있어 : 주담대 금리를 또 다시 인상하기로 해
- 우리은행 5년 변동금리 상품 금리를 0.2%p 올리기로
- 신한은행 주담대 중 은행채 3년과 5년물 기준금리를 0.05%p 인상 예정
3. 은행들의 이번 금리 인상으로 주담대는 3.2%에서 많게는 4% 후반까지 금리가 형성될 전망
4. 현재 시중은행들은 7월 중순 가계대출 잔액이 전달보다 1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파악
의견
1. 미국 연방준비제도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커지고
2. 국내 물가 역시 하향 안정화 되면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낮출 수 있다는 전망이 금융채 금리에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3. 은행들이 시장금리 흐름과 반대로 대출금리 올리는 것은 가계대출 수요를 조절하기 위해서
4.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부동산 가격 오름세와 가계부채 증가세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유의할 필요 있다"
→ 시중 기준금리는 내려갈 전망인데
→ 주담대 금리는 더 올라갔다
→ 이유는 현재 가계부채가 이미 높고 (집 때문에 국민들이 나라에 빌린 돈이 너무 많고)
→ 더군다나 부동산 주택 시장이 상승세인데, 여기에 불 붓는 격으로 금리를 낮출 수는 없다는 게 은행 입장
'이코노미스트 > 뉴스 Fact와 의견 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서울 아파트 안 사면' 불안 자극... 강남 분양 대전 하반기 예고 (0) | 2024.07.23 |
---|---|
"투기꾼들 많았는데 오히려 잘됐다"…지금 분당에 무슨 일이 (0) | 2024.07.22 |
"막차 타자" 주담대 보름새 3.2조 껑충 (0) | 2024.07.17 |
“우리가 재건축 1호"…분당·일산 '선도지구' 경쟁 (2) | 2024.02.06 |
실거주의무 3년 유예…수분양자 숨통 트지만, 양극화는 더 심화 (1) | 2024.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