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mk.co.kr/news/realestate/10918194
"안전진단 변수 사라져"… 노후아파트 많은 노원·수원 들썩 - 매일경제
재건축 현장 분위기"정비사업 속도 빨라질 것"노후 아파트 주민들 기대감리모델링 추진하던 단지들재건축으로 선회 잇따를 듯공사비 급등해 사업성이 관건"용적률 상향 인센티브 필요"여야 합
www.mk.co.kr
Fact
1. 정일안전진단을 받으려면 2-3억원이 드는데 이를 위해 소유주에게서 모금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2. 서울 강남수 수서동 삼익, 동작구 한강현대, 하계동 청솔아파트를 비롯해 수도권 단지가 정밀안전진단 신청을 위해 모금하고 있었다
3. 수도권에 준공 30년 이상 된 아파트 중 안전진단을 통과하지 않은 단지는 서울 노원, 강남, 강서, 도봉, 경기 안산, 수원, 광명, 평택에 몰려있다
4. 문제는 사업성 - 서울 노원, 경기 수원 등 수도권에 지어진 지 30년이 넘은 아파트는 용적률 200% 안팎, 획기적으로 용적률 상향하지 않고서는 수익x
의견
1. 정부가 재건축, 재개발 규제를 완화하는 패스트트랙 정책을 발표하자 부동산 실수요자 "이제 정비사업 속도 빨라질 것"
2. "앞으로 중요한 건 사업성 - 용적률, 분담금 따졌을 때 사업성이 나오고 주민이 분담금을 낼 여력이 있는 곳, 재건축 의지가 있는 곳에서는 속도 붙을 것"
3. "최근 정비사업에서 관건은 인허가 보다 개별 조합원의 자금 여력"
→ 예전 재건축 단계로는 안정성 진단 통과에 돈과 시간이 많이 들어갔다. 그런데 이번에 윤 대통령이 일산을 방문하여 노후 아파트를 점검하면서 "준공 30년이 지난 아파트는 빠르게 재건축을 추진할 것"이라고 언급하였고, 정부에서는 재건축 프로세스를 단축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렇게 되면 중요해지는 게 '사업성'이라고 기사는 말한다. 분담금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가의 문제라면, 결국 각 지역마다 양상이 달라지고 격차가 벌어질 것이다. 당연히 잘사는 사람은 분담금을 낼 수 있고 (내 헌집이 새집이 된다는데!), 여유가 없는 사람은 분담금을 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코노미스트 > 뉴스 Fact와 의견 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세 부담에 수도권 아파트 직거래 비중 '뚝' (0) | 2024.01.16 |
---|---|
한강변에 서울숲 옆 … 성수 70층 재개발 탄력 (0) | 2024.01.15 |
새아파트 3채 중 1채 미입주 "거래절벽에 살던 집 안팔려" (0) | 2024.01.10 |
신생아특례대출, 빛 좋은 개살구?... “시장 침체에 출산·소득 조건 까다로워” (2) | 2024.01.09 |
13월의 월급? 세금 폭탄?…맞벌이 부부라면 '이것' 챙기세요 (0) | 2023.1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