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뉴스 Fact와 의견 체크!

인·허가 받고 착공 못한 아파트 '33만가구'

by 100살부자 2023. 11. 7.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0960223?sid=101

 

인·허가 받고 착공 못한 아파트 '33만가구'

정부의 각종 규제완화책과 연이어 동결된 기준금리에 힘입어 전국 주택 매매가는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일반형 특례보금자리론 취급이 중단되면서 이러한 상승세는 매수세가 집중되는

n.news.naver.com

기사 원문 이미지

Fact
 1. 지난 9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 상승률 0.15% 기록
 2.  저점 인식이 있는 수도권과 가격 상승여력이 있는 대전, 충북, 울산 등 지방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전월 대비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어
 3. 전세가격은 전세사기 우려가 적은 아파트에서 수요가 늘어난 모습
 4. 월세 부담이 확대되며 상승폭 넓어져
 5. 전세가격 상승률 한 달 사이 0.32%로 뛰어
 6. 착공 대기물량은 지난해 25만 4천 -> 올 상반기 33만 1천가구로 증가
 7. 분양, 준공, 착공 모두 감소 중 <-> 자금확보가 어렵고 비용 부담이 커져 인허가 후 착공되지 않은 물량 증가

의견
 1. "실거래가 상승이 시세를 끌어올리며 전국적인 주택 가격 회복 -> 일반형 특례보금자리론 취급 중단, 고금리 여건으로 숨고르기 국면"
 2. 개발 시장에서는 공사비 등 비용 부담이 누적되며 브릿지론 차환 가능성이 떨어지고 있어
 3. 개발사업의 수익성이 저하되고 비용 부담이 누적된 결과 브릿지론 만기연장을 중단한 사업장 발생 -> 시장 불안감 재확산
 4. 분양수요 위축이 뚜렷한 비아파트 개발사업 중심으로 대주단의 투자회수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기한이익상실이 도래하는 곳이 증가할 것으로 보여
 5. "사업성 저하에 미착공 물량이 증가하면서 공급부족 우려 더욱 심화될 것"

 

→ 예전에는 인허가 데이터를 공급의 척도로 보기도 했다. 인허가는 주택건설의 첫 번째 단계인데, 이 단계를 통과하고 나서야 착공에 들어설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전 정부에서는 인허가를 많이 해주지 않았다. 그런데 이 기사에 따르면 현재는 인허가를 해준 뒤에도 착공에 들어서는 물량이 매우 감소했다고 한다. 허가를 다 받가놓고, 계산기를 두드려보니 도저히 집을 지을 수가 없는 것이다. 물론 분양, 준공, 착공 모두 감소했지만, 착공을 하지 못한다는 건 실제로 지금 집을 짓는 공급업자 입장에서 현실적으로 드는 비용이 얼마나 부담되는 것인지를 가늠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