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mk.co.kr/news/realestate/10858744
“지금 주담대 하는 게 맞아?” 아파트 상승거래 8개월만에 꺾여 - 매일경제
전국 아파트 거래 3만건 분석 매수-매도 가격차에 거래 급감 고금리 전망에 당분간 보합세 서울 상승거래 여전히 높지만 비중은 4개월만 50% 아래로
www.mk.co.kr
Fact
1. 지난 9월 전국 아파트 거래 3만 900여건 중 '상승 거래' 총 1만 4천여건 - 비중으로 치면 47.5% (8개월 만에 상승거래 비중 전달 대비 낮아져)
2. 반대로 하락 거래 늘고 있어 - 하락 거래 비중은 지난 8월 30.8%로 올해 저점 직은 뒤 2달 연속 오르고 있어
3. 매매시장이 혼조세를 보이자 수요는 전세로 전환되고 있다
의견
1. 송파구 잠실 엘리트 공인중개사 "올해 초 기점으로 가격 많이 오르며 전용 84가 25억원대 - 최근엔 매도자와 매수자들 사이의 의견차이 생기며 거래량 줄어"
2.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추석 이후 방문도 전화문의도 뚝 끊긴 상황"
3. "최근 시중금리가 소폭 오르고 있고, 예상치 못한 지정학적 리스크로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당분간 관망세가 짙어지고 가격 보합세가 이어질 것"
4. "전세물량은 최근 들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 최근 들어 아파트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서울의 경우). 올해 초에 저점을 찍고 한동안 거래량이 늘어났었는데, 최근 고금리 기조가 심상치 않으면서 거래량이 다시 줄어들고 있다. 매매 가격은 보합세이다. 하지만 매매/전세/월세 중에 하나를 선택해 살아야만 한다. 매매가가 너무 감당하기 힘들자, 사람들은 이전보다 가격이 많이 낮아진 전세를 찾아가고 있고, 수요가 많아지자 전세가는 오르고 있다고 한다. 매매가가 내려올 때 또 투자하기 좋은 시기가 올 수 있는데, 집값은 어떻게 될 지 그 향방은 지켜봐야 알 것 같다.
'이코노미스트 > 뉴스 Fact와 의견 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월 주택 인허가 33%·착공 57% 감소…준공도 13%↓ (1) | 2023.10.31 |
---|---|
서울 아파트값 '숨고르기 국면'…외곽에선 고점 대비 30% 하락 거래도 (0) | 2023.10.30 |
“6%대 금리도 가능”…고금리 넘어 ‘초고금리’ 오나 (0) | 2023.10.25 |
'역세권' 집값 상승 영향력 2·3호선 아닌 8호선 최대 (0) | 2023.10.24 |
신규 빌딩 공급에도 공실률 하락한 오피스… “선임차 90% 이상 완료” (1) | 2023.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