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노미스트/뉴스 Fact와 의견 체크!

기사 분석 : 재건축 단지

by 100살부자 2022. 2. 16.

Fact
1) 청약시장 열기 주춤, 재건축 아파트 경쟁률 22.4대 1 기록
2) 같은 기간 전국 민영 아파트 전체 평균 청약경쟁률 19.4 대 1
3) 2019년, 2020년 재건축, 재개발 민영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 27:1, 44.9:1
4) 2017~2021년 부동산에서 공급된 민영 아파트의 일반분양 물량 가운데 재건축, 재개발 비중은 평균 20%대에 그침

의견
1) 서울 지역 분양 물량이 급감하면서 재건축, 재개발 아파트 평균 경쟁률이 낮아졌기 때문
2) 재건축, 재개발 아파트들의 경우 이미 구도심에서 주요한 자리를 잡고 있어 기존 인프라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이 일반 투자자에게 분양되기 때문에 공급 물량이 많지 않아 경쟁이 치열하다
4) 서울은 핵심지역인 '강남 압구정'에서 재개발사업이 활발이 진행되는데 반해
5) 정부가 추진하는 3기 신도시는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울도심권과의 접근성에서 큰 차이가 있다
=> 재개발, 재건축 아파트들의 입지적인 장점
6) 재건축, 재개발 분양단지가 작년에 비해 많아 이 같은 물량 가뭄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재건축 : 건물만 부수고 다시 건축하는 것. (ex 대치동 은마아파트, 잠실 5단지 재건축)
*재개발 : 건물 + 도로, 상하수도, 공원 전체적으로 개발하는 것. (ex 아현동, 수유동 재개발)

 

→ 재작년, 작년에 비해 재건축/재개발 평균 경쟁률이 떨어지긴 했지만 물량 자체가 줄어 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반 청약 경쟁률 보다 재건축/재개발 청약 경쟁률이 높다는 요지의 기사이다. 재개발/재건축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의 인프라를 누릴 수 있다는 입지적인 요소가 크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