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iz.chosun.com/real_estate/real_estate_general/2023/08/21/WEJ5DG47EJBXTDBQHCVUD3B2EY/
“‘역전세난’ 온다더니”… 공급부족에 잠잠한 전세시장
역전세난 온다더니 공급부족에 잠잠한 전세시장 서울 전셋값 13주 연속 상승 그라시움·파크리오 등 시세 회복 수요 늘었지만 공급은 줄어
biz.chosun.com
Fact
1. 서울 아파트 전셋값 지난 5월부터 13주 연속 상승
2. 서울 강동구 고덕그라시움 84m² 전셋값 23.1월 6억 -> 23.8월 8억 3천
3. 송파구 신청동 파크리오 84m² 전셋값 23.8월 10억 2천
*역전세 : 세입자가 이사가야 할 시점의 전세 시세가 과거 계약 당시보다 하락한 것
4. 매물 공급 급감 : 동작구 -65% 광진구 -63% 마포구 -61% 중구 -61%
의견
1. 업계에서는 수요가 늘고 공급이 줄면서 전셋값이 상승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고 있어
-> 전세대출 금리가 내리면서, 월세 대신 전세를 찾는 세입자들이 다시 늘었다 (5% 넘던 전세자금대출 금리 -> 3%까지 떨어져)
2. "추이를 보면 최근 3년간 주택 가격과 전세가격은 동행하는데, 하반기에도 매매가격이 올라가면서 전세가격도 동반상승하고 있다"
3. 전세가격은 당분간 더 오를 전망 : 매물 공급이 급감했기 때문
→ 2021년 하반기와 비교하면 전세가가 여전히 낮기는 하지만, 역전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다소 사그라든 모습이다. 전세자금대출 금리가 줄어들면서 월세보다 전세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 영향으로 전세매물이 줄어들었고, 전세수요자가 늘어나면서 역전세의 가능성이 낮아졌다. '금리'가 항상 시발점인 것 같다.
'이코노미스트 > 뉴스 Fact와 의견 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값 상승’ 기대감에 고개 드는 갭투자... “서울선 송파구에 몰려” (1) | 2023.08.28 |
---|---|
"10년간 기다렸는데"…신분당선 연장 무산에 주민들 커진 '실망감' (0) | 2023.08.25 |
[재건축지도]③치솟는 공사비, 곳곳 갈등 씨앗 (0) | 2023.08.17 |
[50년 주담대 딜레마]①초장기 대출의 '양면' (0) | 2023.08.16 |
금리 고점론에… 주담대 변동금리 비중 늘었다 (0) | 2023.08.15 |
댓글